개요
SAMBA(이하 smb)는 리눅스 서버의 디렉토리를 윈도우 클라이언트가 공유해서 쓸 수 있게끔 하는 무료 소프트웨어다. smb는 주로 TCP 445번 포트를 이용한다. smb를 쓰면 윈도우 머신이 마치 리눅스처럼 인식된다.
이 글에서는 smb를 통해 디렉토리를 공유해 볼 것이다. 사용할 컴퓨터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SMB 서버
- 운영체제: Rocky Linux 8.60
- IP: 192.168.10.193/24
-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 root, basic
SMB 클라이언트
- 운영체제: Windows Pro 10
- IP: 192.168.10.194/24
Smb 설치
1. 서버에 root로 로그인한 뒤 공유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나는 /home/share로 했다.
mkdir -p /home/share
테스팅을 위해 share안에 test.txt 파일 또한 만들었다.
echo 1 > /home/share/test.txt
2. smb 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dnf install -y samba
3. 유저에 대한 smb 계정을 생성한다. 나는 basic이라는 유저의 smb 계정을 생성할 것이다. basic 리눅스 유저가 이미 존재해야 그에 대한 smb 계정 생성도 가능하다.
smbpasswd -a basic # -a: smb 계정을 생성함
#smbpasswd basic # 이미 존재하는 smb 계정 basic의 비밀번호를 바꿈
4. 설정파일을 연다.
vi /etc/samba/smb.conf
파일 안에 공유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다.
[share] # 클라이언트에서 보이는 디렉토리명
comment = share # 주석
path = /home/share # 디렉토리 경로
valid users = basic # basic 계정만이 접근 가능
writeable = Yes # 파일 생성 가능
파일의 원래 내용은 그대로 두어도 되고, 필요 없는 부분을 지워도 된다. 단, [global]은 지우면 안 된다. 나의 경우 [printer] 부분을 지웠다.
5. smb 데몬을 활성화한다.
systemctl start smb # 현재 시점에서 smb 데몬을 메모리에 띄운다
systemctl enable smb # 부팅 시 smb 데몬을 메모리에 띄운다
Smb 작동 확인
1.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따로 설정할 것은 없다. basic 계정 또한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바로 네트워크 아이콘을 더블클릭한 후, 서버 컴퓨터의 IP로 들어간다.
\\192.168.10.193
2. 로그인하는 창이 뜬다. 이 곳에 basic의 유저명과 smb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3. 공유한 share 폴더가 보인다. 더블클릭하여 폴더 안으로 들어간다. basic 폴더가 보이는 이유는 smb.conf 안 [homes] 항목 밑에 모든 유저의 홈 디렉토리를 공유해 놓는 설정이 있기 때문이다.
test.txt 파일을 액세스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VM & 운영체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 Oracle 19c Client 설치하기 (0) | 2025.03.31 |
---|---|
리눅스로 PHP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1) | 2025.03.12 |
리눅스로 라우터 만들기 (0) | 2025.03.10 |
리눅스로 Authoritative DNS 서버 만들기 (0) | 2025.03.09 |
NFS 서버, 클라이언트 설정과 퍼미션 확인 (0) | 2025.03.06 |